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어제 문재인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온 것을 계기로 한반도 정세 전망과 관련해 긍정적인 전망에 무게가 실리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신년사에 이어 북미 대화가 재개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 연결해서 김정은 위원장 친서 의미와 배경 그리고 신년사 이후 한반도 정세 전망해 보겠습니다. 왕선택 기자! <br /> <br />일단 연말에 북한 최고지도자가 친서를 보내는 일, 이건 아주 이례적인 상황인 건 맞는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 최고 지도자가 연말에 남쪽의 최고 지도자에게 친서를 발송한 것은 저는 알지 못하고요. <br /> <br />다른 곳에서도 유사 사례를 말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첫 번째 사례로 봐도 되겠고요. <br /> <br />그다음에 지난 남과 북의 최고 지도자, 남북 정상은 지난 9월 20일에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이후에 100일 만에 이번 친서를 통해서 의사소통을 했다고 하는 그런 특징도 가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10월 초순 이후에 북미 협상이나 비핵화와 관련해서 북쪽 김정은 위원장이 특히 어떻게 보면 침묵을 지키고 있었는데 이러한 침묵이 거의 90여 일 만에 깨졌다 이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 친서 내용이나 형식을 모두 봤을 때 이거 긍정적인 신호라고 봐도 되겠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물론입니다. <br /> <br />긍정적인 요소가 대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부정적인 요소가 일부 있긴 있지만 미미한 수준이라고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기본적으로 서울 연내 답방이 불발되는 상황 속에서 어떻게 보면 실망감이 좀 있었는데 그것으로 인해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정책의 추동력에 문제가 좀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랄까 구멍이랄까 이런 것들을 메워주는 효과가 있고요.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신뢰 관계가 다시 한 번 확인이 됐는데 지금 2018년 한반도 안보 정세 격변 상황에서 톱다운 방식이라고 하는 방식이 동원이 되고 있고 최고 지도자 간의 우호적인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한데 그런 것이 확인이 된 것은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고요. <br /> <br />또 김정은 위원장이 평화 번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한다, 이런 것을 재확인했고. 그런 것들과 관련해서 비핵화에 대한 의지 또 북미 협상을 지속하겠다는 의지, 이런 것들이 확인됐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고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김정은 위원장이 장기간 동안 침묵을 했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비핵화에 대한 회의론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23113083578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